게임기 보조 장치? 로 만들었지만 정작 게임기 보다는 산업 현장에서 더 많이 쓰인다는 키넥트!


처음 키넥트 360으로 나왔을때는 개발 서적도 좀 보이고 개발하는 분들도 좀 보이더만


엑스박스 원의 정책의 실패로 인해서 관련 도서도 없고 하시는 분들도 많이 보이지 않습니다.


그래서 제가 한 번 해 보겠습니다.


1. 키넥트 v2 구입


저같은 경우는 중고로 구입했습니다 중고는 10만원 정도이고 새거는 20만원 정도 하더군요 + 댄스 센트럴 해서요!


2. 커넥터 구입!


이렇게 생긴것을 구매하시면 됩니다. 7만원대 네요 원래 윈도우용으로도 나왔으나 이내 단종이 되고 모든 키넥트는 저 어댑터를 통해서 윈도우 10과 연결 할 수 있고 개발 할 수 있습니다.


이제 키넥트와 어댑터를 윈10 디바이스에 연결을 합니다


이제 개발을 위한 SDK를 설치해 보겠습니다.


먼저 마이크로소프트 사이트에가서 Kinect for WIndows SDK 2.0 을 받습니다

https://www.microsoft.com/en-us/download/details.aspx?id=44561


반드시 2.0 을 받읍시다 1.8도 있지만 키넥트360 용 SDK입니다. v2는 2.0 이기에 꼭 2.0을 받읍시다!





실행후 다음다음 다음만 눌러주면 설치 완료!



SDK Browser 을 실행해본 모습  샘플로 C# C++ 로 실행도 가능하고 설치도 가능합니다.

또한 자신의 컴퓨터가 잘 맞는지 보려면



저의 경우 USB가조금 위험하지만 작동에는 이상이 없습니다!


SDK와 함께 추가된 앱들 입니다 이렇게 되면 개발환경이 구축 된 것 입니다.! 참 쉽죠?


Color Basics-D2d를 실행시켜 보면 제방이 잘 나옵니다Private 하기때문에 좀 가렸습니다 하하핳하하




주의!!!!!!!!!!!


최소 사양입니다... 특히 USB 3.0에 대해서는 메인보드 별 성능 이슈가 있다고 합니다. 특히


https://social.msdn.microsoft.com/Forums/en-US/bb379e8b-4258-40d6-92e4-56dd95d7b0bb/confirmed-list-of-usb-30-pcie-cardslaptopsconfigurations-which-work-for-kinect-v2-during?forum=kinectv2sdk 에 보시면 몇멸 USB에 대해서는 안될수도 있다고 하니 자신의 컴퓨터 사양을 잘 보세요!



'Kin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. Kinect로 Windows Hello 작동 하기  (0) 2016.11.07

+ Recent posts